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수질 실험)Ca(OH)2 함량 분석

728x90
반응형

1.소석회 란?

 

화학식 : Ca(OH)2

 

수산화칼슘을 말한다. 산화칼슘에 물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발열해서 생긴다. 백색의 분말로 물에 약간 녹으며, 그 수용액을 석회수라고 한다. 강한 알칼리성을 띤다. 이산화탄소와 쉽게 화합하여 물에 녹지 않는 탄산칼슘을 생성한다. 암모니아염에 작용해서 암모니아를 분리한다. 또 산에 녹아 칼슘염을 만들고, 염소를 작용시키면 표백분을 생성한다. 표백분, 모르타르의 원료, 소독제, 산성 토양의 중화, 응집 조제 등의 알칼리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2.EDTA 적정

 

EDTA가 금속과 1:1로 반응하여 착이온을 만들기 때문에 금속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는데 쓰인다. 가장 대표적으로 Ca2+이온을 확인할 때, ErioChrome Black T(EBT)라는 금속 지시약을 사용하여 칼슘과 착이온을 만든 뒤, EDTA를 조금씩 넣어주면서 적정한다. 이 때 EDTA가 Ca2+ 이온과 착이온을 만들 때의 평형 상수가 EBT보다 10배 이상 크기 때문에 EDTA가 칼슘과 착이온을 만들고, EBT는 떼어내진다.EBT 착이온과 EBT의 색이 다르기 때문에 색이 일정해질 때까지 적정할 수 있다.

3. 실험 방법

1. 시료 약 4-5g을 정확히 달아 희염산에 녹인 후 물을 가하여 250ml로 한다.

2. 1항의 10ml를 취한 후 10% KOH 15ml, 5% KCN 3ml , 순수 100ml 가하여 NN 지시약을 가한다.(총 128ml)

3. 0.05M EDTA로 적정(적 -> 청)

4. 0.05M EDTA 1ml = 3.705mg Ca(OH)2 

4. 계산식 

5.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나무위키, 네이버 블로그 

KOH를 넣었을 때 뿌옇게 변한다.
NN 지시약을 넣어 주었을 때
EDTA로 적정했을 때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