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칼리도 정의
알칼리도는 화학적 척도로서 산(acid)을 중화(neutralize)시키는 능력 또는 수소이온을 중화시킬 수 있는 이온량(염기, base)으로 정의되며 완충용량(buffer capacity)이라고도 한다.
알칼리(alkali)라는 용어는 흔히 pH 7.0 이상인 염기성 물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된다. 자연적인 물은 주로 약산염(weak acid salt)으로 낮은 알칼리도를 보이며 극한환경 또는 상수도시설과 같은 인위적인 환경에서는 높은 알칼리도를 보이기도 한다. 자연수에서 알칼리도의 구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중탄산염(HCO3-, bicarbonate), 수산화물(OH-, hydroxide), 탄산염(CO32-, carbonate)이며 중탄산염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이처럼 알칼리도는 수산기 알칼리도(hydroxide alkalinity), 탄산 알칼리도(carbonate alkalinity), 중탄산 알칼리도(bicarbonate alkalinity)로 분류될 수 있다.
P-Alkalinity는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지시용액으로 하여, 색이 변할 때까지 적정한 산의 소비량을 CaCO3당량으로 환산한 값이며, OH 이온과 CO3 이온의 농도가 그 값의 주 요소가 됩니다.
M-Alkalinity는 메틸 오랜지 용액을 지시용액으로 하여, 색이 변할 때까지 적정한 산의 소비량을 CaCO3당량으로 환산한 값이며, OH 이온, CO3 이온, HCO3 이온의 농도가 그 값의 주 요소가 됩니다.
M-Alkalinity는 다시 Total Alkalinity라고 하기도 합니다.
2. 측정원리
pH 4.8까지 낮추는데 필요한 산의 양을 CaCO3mg으로 환산한 값이 M-알칼리도이다.
3.시험방법 (pH 4.8 이상인 시료만 청색으로 발색)
300mL 삼각플라스크 : 시료적당량을 취함
↓
Methyl red 혼합지시약 3-5drops <청색을 띠면 OH-,CO32-,HCO3-가 존재>
↓
N/50 황산으로 적정
(청색→엷은 분홍) *엷은 분홍색일 때 pH가 4.8
4. 시약제조
①Methyl red 혼합지시약
Methyl red(C15H15O2N3) 0.02g + Bromocrasol green(BCG : C21H14O5Br4S)0.1g
→ethyl alcoho(95% v/v)100mL에 용해
②N/50 H2SO4
0.1N H2SO4 200ml → 1L <0.1N : H2SO4 3ml→1L>
5. 결과값
6.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블로그 등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실험) 총인(T-P)-자외선/가시선 분광법 (0) | 2022.02.24 |
---|---|
수질 실험)Ca(OH)2 함량 분석 (0) | 2022.02.22 |
수질실험)SiO2 몰디브덴청법(Molybdenum blue Method) (0) | 2022.02.17 |
n-hexane 추출물질 시험법 (0) | 2022.02.16 |
수질 실험)중화 반응을 이용한 NaOH 함량 분석 (0) | 2022.02.09 |